우리 주변의 화단과 뒷산에서 제일 흔하게 볼 수 있는 나무는 바로 소나무일 것입니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귀중한 자원으로 인정되어 보호되어 땔감으로 함부로 배지 못하도록 한 결과 지금에 이르렀습니다. 오늘은 아주 가까운 곳에 있으면서 많은 숨겨진 이야기를 담고 있는 소나무에 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1. 우리나라 토종 소나무는 잎이 2개씩 모여 난다.
2개씩 모여 나면(속생) 소나무이고, 3개씩 모여 나면 리기다소나무입니다. 리기다소나무의 학명은 Pinus rigida입니다. 종소명인 rigida의 이름을 그대로 부르고 있습니다. 일본 발음과 비슷하여 일본산으로 오해하지만,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입니다. 1914년경 서울에 처음 심었습니다. 소나무는 자연 발아하지만, 리기다소나무는 자연 발아하지 못합니다. 산에서 만나는 리기다소나무는 누군가 심어 놓은 것이에요.
2. 소나무를 적송이라고 부르면 안 됩니다.
적송(赤松)은 일본에서 あかまつ라고 부르는 말을 우리 한자 말로 부르는 것입니다. 소나무 수피가 붉은색이어서 간혹 적송이라고 부르지만, 우리 말에는 적송이라는 단어가 없습니다.
3. 소나무는 줄기가 곧지 않다.
소나무는 특성상 줄기가 곧지 않고 멋스럽게 구부러지지만, 리기다소나무는 곧게 자랍니다. 그래서 수형만 봐도 금방 구분이 가능해요. 그리고 소나무는 원 줄기에 잎이 달리지 않지만, 리기다소나무는 잎이 덕지덕지 달리는 것으로 구분됩니다.
4. 줄기에 상처가 나면 송진이 흐른다.
상처 난 곳으로 세균과 곰팡이가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해 끈적끈적한 액체인 송진을 분비하여 상처 난 곳을 막아요. 흘러내린 송진이 화석처럼 굳은 것이 호박이라고 부르는 보석이고, 가끔 송진에 곤충 등이 갇혀 함께 화석이 되는 경우도 있어요. 쥐라기 공원이라는 영화에서도 호박 속에 갇힌, 공룡 피를 빨아 먹은 모기에서부터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5. 사람의 출입이 잦은 곳에서 자라는 소나무는 솔방울을 많이 만든다.
공원, 화단 등지에 심어진 소나무는 작고 많은 솔방울을 만듭니다. 그래서 언젠가 직접 비교를 해본 적도 있어요. 학교 화단에 심어진 소나무와 학교 뒷산에 자라는 소나무의 솔방울 개수와 크기를 비교해 보니 금방 차이가 났습니다. 사람 근처에 자라고 있는 소나무는 생명의 위협을 느껴서 최대한 많은 종자를 생산해 내는 것입니다. 생태에서 말하는 r-전략 방법으로 많은 종자를 퍼트려서 그중에 한두 개라도 성공시키자는 전략이지요. 반면, 숲속의 소나무는 비교적 안정하여 크고 튼실한 종자를 만드는 겁니다.
아직 이야기가 마무리되지 않았습니다. 앞으로 5가지 이상이 더 남아 있습니다. 너무 많은 정보는 기억하기에도 어렵고 지겨우니 이쯤 마무리하고 다음에 이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정정채 박사
2023년 12월 14일
'우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에서 가장 키가 작은 식물 개미자리 (0) | 2024.02.14 |
---|---|
정겨운 소나무 제2화 (2) | 2024.01.14 |
대나무야 대나무야 (37) | 2023.11.22 |
은행나무 이야기 (23) | 2023.10.22 |
꽃무릇과 상사화 (0) | 2023.09.24 |